과점 시장 안의 기업들이 담합을 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행동을 한다고 해서 자기 마음대로 행동하는 것은 아니다. 자신이 어떤 행동을 취하면 경쟁기업이 어떻게 반응할지를 추측하고 이에 입각해 그 행동을 취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대방의 반응에 대한 추측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이 상품 생산량을 늘리면 경쟁기업도 따라서 늘릴 것이라고 추측할 과점 시장 안의 기업들이 담합을 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행동을 한다고 해서 자기 마음대로 행동하는 것은 아니다. 자신이 어떤 행동을 취하면 경쟁기업이 어떻게 반응할지를 추측하고 이에 입각해 그 행동을 취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대방의 반응에 대한 추측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이 상품 생산량을 늘리면 경쟁기업도 따라서 늘릴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고, 경쟁기업이 현재의 생산량을 그대로 유지하리라고 추측할 수도 있다. 또한 자신이 가격을 변화시킬 때 경쟁기업이 어떻게 반응하리라는 데 대한 추측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추측의 구체적인 내용에 따라 과점시장에 대한 여러 가지 다른 이론이 제기될 수 있다. 다음에 보게 될 꾸르노모형, 베르뜨랑모형, 굴절수요곡선의 모형 사이의 차이는 결국 각 기업이 경쟁기업의 반앵에 대해 어떻게 추측하고 있는지에 달려있다고 말할 수 있다.
꾸르노 모형
과점시장 안의 어떤 기업이 상품 생산량을 늘릴 것인지의 여부에 대해 고려하고 있다 하자. 이 기업은 자신이 생산량을 늘릴 떄 경쟁기업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추측하고, 이에 기초해 실행에 옮길지의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지금 살펴보려고 하는 꾸르노 모형에서는 경쟁기업이 현재의 생산량을 그대로 유지할 것이라는 추측하에서 결정을 내린다고 본다. 다시 말해 각 기업이 상대방의 현재 생산량을 주어진 것으로 보고 자신의 이윤극대화 생산량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쟁방식을 꾸르노경쟁이라고 부르는데, 바로 이 경쟁방식을 상정하는 데 꾸르노모형의 가장 중요한 특징이 있다.
꾸르노모형은 두 개의 기업이 서로 경쟁하고 있는 복점시장을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 이 모형에서 각 기업은 상대방이 현재의 생산량을 그대로 유지한다는 가정하에서 자신의 이윤극대화 생산량을 선택한다. 바로 이것이 꾸르노모형의 핵심적 특성이다.
예를 들어 A, B 두 기업이 있는데, 그중 한 기업이 먼저 어떤 생산량을 선택했다고 하자. 기업 B는 이를 주어진 것으로 보고, 다시 말해 상대방이 그 생산수준을 그대로 유지할 것으로 보고 이윤이 극대화되는 생산량을 선택한다. 그렇게 되면 이번에는 기업 A가 상대방이 그 생산량을 그대로 유지할 것으로 보고 이윤이 극대화되는 새로운 생산량을 선택한다. 이 단계에서 선택된 기업 A의 생산량은 맨 처음에 선택된 생산량과 다른 것이므로, 이를 본 기업 B는 다시 새로운 이윤극대화 생산량을 찾게 된다.
이와 같이 한 기업이 어떤 생산량을 선택하면 상대방이 이에 대해 반응하고, 이를 본 그 기업은 다시 자신의 선택을 수정하고, 상대방은 이를 보고 다시 새로운 반응을 보이는 식으로 계속 주고받는 과정이 계속된다고 하자. 이렇게 두 기업이 계속 생산량을 바꾸어 나가는 ㅗ가정이 계속되다 어떤 상태에 도달했을 때 시장은 안정을 이루게 된다. 즉 각 기업이 더 이상 생산량을 바꾸려 하지 않아 그 상태가 그대로 지속되는 것을 보게 되는데 이게 바로 꾸르노균형이다.
그렇다면 꾸르노균형의 상태에서 각 기업은 어떤 생산수준을 선택하게 될까? 구체적인 도출과정은 생략하고 단지 그 답만 제시한다면 다음과 같다. 만약 이 시장에서 완전경쟁이 이루어졌다면 시장 전체의 총생산량이 C였을 것이라고 하자. 꾸르노균형이 이루어진 상황에서는 각 기업이 1/3C씩 생산해 시장 전체의 생산량을 2/3C가 된다. 다시 말해 꾸르노 경쟁이 이루어지는 시장에서의 생산 수준은 완전경쟁이 이루어졌으면 실현되었을 생산 수준의 2/3 수준에 지나지 않을 것이라는 뜻이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폰 시대 개막 📱✨: 스마트폰의 혁신, AI 폰의 모든 것! (0) | 2025.03.13 |
---|---|
ChatGPT 초보자 가이드: 인공지능과 친해지는 첫걸음 🚀 (0) | 2025.03.13 |
독점경쟁시장의 균형과 자원배분의 특징 (0) | 2025.01.17 |
독점경쟁시장의 특성 (0) | 2025.01.15 |
경제학 - 세 주요 과제 (1) | 202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