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점경쟁시장의 단기균형
차별화된 상품들이 각각 독자적인 시장을 형성하게 되면 개별 기업이 직면한 수요곡선은 우하향한 모양을 갖는다. 완전경쟁시장 안의 개별 기업이 직면한 수요곡선이 수평선인 점과 대조적이며, 이 점에서는 오히려 독점시장과 비슷하다고 말할 수 있다. 독점경쟁시장의 단기균형도 독점시장의 경우와 비슷한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즉 우하향한 수요곡선에서 한계수입곡선을 도출하고 이 곡선과 한계비용곡선이 교차하는 생산 수준을 선택할 때 단기균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독점경쟁시장의 장기균형
새로운 기업들이 진입해 경쟁기업의 수가 늘어나면 개별 기업이 직면하는 소요곡선은 점차 왼쪽으로 이동해 간다. 전체 시장의 규모가 주어져 있는 상태에서 경쟁기업의 수가 많아지면 개별 기업이 차지할 수 있는 시장의 몫이 점차 작아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장기조정관정은 각 기업의 이윤이 0으로 떨어질 때까지 계속된다. 이렇게 모든 기업의 (극대화된) 이윤이 0으로 떨어지게 되면 더 이상의 진입이 일어나지 않고 따라서 시장은 장기균형 상태에 도달하게 된다.
자원배분의 특징
장기균형 상태에서 기업이 선택하는 생산 수준은 장기평균비용곡선의 최저점이 아니라 그보다 왼쪽, 즉 더 낮은 생산 수준이다. 어떤 기업의 장기평균비용곡선이 최저점에 도달하는 생산 수준을 그 기업의 시설규모라고 한다면 실제의 생산 수준이 이보다 더 작다는 것은 유휴시설이 존재한다는 의미가 될 수 있다. 즉 독점경쟁시장에서는 각 기업들이 생산능력의 일부를 활용하지 않은 채 놓아두는 결과가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독점경쟁시장에서는 광고나 상품의 차별화를 통한 비가격경쟁이 일어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모든 상품이 동질적이라면 가격이 좋은 경쟁의 수단이 되겠지만, 차별화가 이루어져 있으면 가격 아닌 다른 수단에 의해 경쟁을 하게 될 가능성이 커진다. 기업마다 앞다투어 독특한 상품을 개발하려고 노력하는 동시에, 이 사실을 소비자들에게 알리기 위해 많은 돈을 들여 대대적인 선전을 하는 것이 독점경쟁시장의 전형적인 경쟁풍토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상품차별화가 소비자의 후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한마디로 잘라 말하기 힘들다. 차별화를 통해 소비자의 다양한 기호에 부합하는 갖가지 상품이 생산될 수 있다는 것은 분명 좋은 일이다. 오직 한 가지 라면이나 비누만이 존재하는 세상이라면 우리 소비생활은 단조롭기 짝이 없을 것이다. 해물맛 라면을 좋아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곰탕맛 라면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데 우리가 살 수 있는 것이 오직 닭고기 라면 한 가지라면, 이것은 결코 바람직한 일이 아니다.
그렇다고 해서 차별화가 긍정적인 효과만을 가져온다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현실을 보면 다른 기업의 상품과 차이가 나는 점이라고는 기껏 해서 포장이 다른 정도인데도 마치 큰 차이가 있는 듯 선전하는 기업들을 자주 본다. 또한 사소한 차이를 과장해 광고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충동구매를 부추기는 경우도 많다. 이와 같은 유형의 차별화는 공연히 자원을 낭비하는 결과만 가져올 뿐 소비자의 후생에 전혀 기여하는 바가 없다. 결론적으로 말해 독점경쟁시장에서의 상품차별화는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모두 갖고 있는 것이다.
과점시장
소수의 기업이 상품을 생산, 공급하고 있는 시장을 과점시장이라고 부른다. 현실에서 가장 자주 관찰할 수 있는 시장형태가 바로 이 과점시장이다. 자동차, 가전제품, 석유제품, 약품, 금융서비스 등 주요 상품들이 거의 모두 이 과점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우리나라에만 고유한 것이 아니고, 거의 모든 나라에서 볼 수 있는 보편적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과점시장에서는 상당한 정도의 진입장벽이 존재한다. 독점시장만큼 강력한 진입장벽은 아니라 할지라도, 어느 정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진입장벽이 존재하기 때문에 과점체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과점시장에서는 기업들이 상품차별화를 시도하는 경우를 흔하게 관찰할 수 있다. 몇 안 되는 기업들이 치열하게 경쟁하는 시장이기 때문에, 차별화를 통해 자신의 상품이 색다르게 보이도록 노력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tGPT 초보자 가이드: 인공지능과 친해지는 첫걸음 🚀 (0) | 2025.03.13 |
---|---|
독자적 행동의 모형 (0) | 2025.01.20 |
독점경쟁시장의 특성 (0) | 2025.01.15 |
경제학 - 세 주요 과제 (1) | 2025.01.04 |
국민경제의 기본 골격 (3) | 2025.01.02 |